스토리랩

BMI 계산방법과 비만 측정 방법

스토리인포 2023. 9. 18. 14:59

 

BMI 계산방법과 비만 측정 방법




BMI의 개념


BMI는 Body Mass Index(신체질량지수)의 약자로, 개인의 체중과 키를 활용하여 체형을 평가하는 수치입니다.

19세기 후반에 벨기에의 통계학자 아돌프 콰테레가 처음 도입했으며, 초기에는 인구 통계학적 연구를 위해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개인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데요. 주로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체중 : BMI ~18.5
정상 : BMI 20~25(여성 18.5~24 / 남성 20~25)
과체중(1도 비만) : BMI 25~29.9
비만(2도 비만) : BMI 30~40
고도비만 : BMI 40.1 이상


BMI의 중요성


① 초기 건강 평가: BMI는 전반적인 체중 상태를 빠르게 알아보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과체중, 정상, 저체중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② 간편성: BMI 계산은 간단하므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장비나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③ 기초 데이터 제공: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나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기 전에 기초 데이터로 활용됩니다.

④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 BMI 수치는 의료진과 건강 상태에 대해 논의할 때 좋은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BMI 계산방법


BMI를 계산하는 공식은 매우 간단합니다. 개인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주면 됩니다.



BMI의 한계와 주의점


BMI가 건강 상태를 간단히 파악하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전체 건강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근육량, 체지방률, 뼈의 밀도 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나이와 성별에 따라 건강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BMI 외에도 체지방률,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등 다른 건강 지표와 함께 검사를 하는 것이 좋으며, 전문가의 의견을 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BMI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초기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뿐, 다양한 지표와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기타 비반 측정 방법

 

BMI 외에도 체중을 측정하고 건강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

① 체지방률: 체지방과 근육량을 구분하여 체지방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킨폴드 측정, 바이오임피던스 분석(BIA)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 남성: 25% 이상
  • 여성: 32% 이상인 경우 비만으로 분류

  
② 웨이스트-힙 비율: 허리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으로, 복부 지방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복부 지방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남성: 0.9 이상
  • 여성: 0.85 이상일 경우 복부 비만의 위험이 높음



③ 웨이스트-투-하이트 비율: 허리둘레를 키로 나눈 값으로, 복부 비만을 판단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 0.5 이상 : 복부 비만의 위험이 높다고 판단

    
④ 허리둘레

  • 남성: 102cm 이상
  • 여성: 88cm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분류


위와 같은 지표와 수치는 일반적인 기준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